크록스

헤이듀드 성과 기반 마케팅에서 브랜드 마케팅으로의 전환

ㅣ굴굴ㅣ 2025. 4. 3. 12:44
반응형

성과 기반 마케팅 vs. 브랜드 마케팅의 차이점

크록스(Crocs)가 HEYDUDE 브랜드에서 성과 기반 마케팅(performance marketing)에서 브랜드 마케팅(brand marketing)으로 전환한다고 언급한 것은, 마케팅 전략의 초점을 단기 성과에서 장기적 브랜드 구축으로 옮기겠다는 의미입니다. 각 개념의 차이와 의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성과 기반 마케팅(Performance Marketing)

성과 기반 마케팅은 즉각적인 매출, 클릭, 전환 등을 목표로 하는 마케팅 활동입니다.

  • 특징:
    • 광고의 성과가 명확하게 측정 가능 (예: 클릭 수, 구매 전환율, 광고 투자 대비 매출).
    • 구글 광고, 페이스북 광고, 검색 광고 등을 통해 빠른 전환을 유도.
    • 소비자가 제품을 보자마자 즉시 구매하도록 하는 데 집중.
    • **ROI(투자 대비 수익)**를 단기적으로 계산해 예산 효율을 극대화함.
  • 예시:
    • 페이스북 광고에서 특정 신발 제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홍보해 즉시 구매를 유도.
    • 구글 검색 광고로 '편한 남성 신발'을 검색한 소비자에게 HEYDUDE 광고를 노출해 클릭 후 구매로 연결.

2. 브랜드 마케팅(Brand Marketing)

브랜드 마케팅은 소비자에게 브랜드 정체성과 감성적인 가치를 심어주고, 장기적으로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데 집중합니다.

  • 특징:
    • 단기적인 매출 성과보다는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를 구축.
    • 소비자가 브랜드와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게 하여 충성도를 높임.
    • 매출로 바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브랜드가 기억에 남고 신뢰받는 이미지로 자리잡도록 함.
    • SNS 캠페인, 협업 마케팅, 스토리텔링 광고 등을 활용.
  • 예시:
    • HEYDUDE가 Sydney Sweeney와 파트너십을 맺어 젊은 세대와 감성적 연결을 만듦.
    • 맥도날드와 협업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 소비자들이 '친근하고 재미있는' 브랜드로 인식하게 함.

왜 크록스는 전환을 선택했을까?

HEYDUDE의 경우 초기에는 성과 기반 마케팅에 치중해 즉각적인 매출을 올리려고 했으나, 이 방식만으로는 장기적인 브랜드 성장이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성과 기반 마케팅은 ROI가 즉각적이지만,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을 쌓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크록스는:

  1. 장기적인 브랜드 구축에 더 집중해 HEYDUDE의 인지도를 높이고,
  2. 브랜드와 소비자의 감정적 연결을 강화하여 충성 고객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전략적 시사점

  • 단기 매출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 사이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 크록스는 성과 기반 마케팅만으로는 HEYDUDE 브랜드가 지속 성장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이제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해 장기 성과를 추구하고자 합니다.

이런 전환은 초기에는 매출 성과가 더디게 나올 수 있지만, 장기적인 충성 고객 확보와 브랜드 인지도 상승으로 미래 성장을 도모하는 데 유리합니다.

반응형